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

[Key Word 개발기] CI/CD 어떻게 할것인가... 협업프로젝트하면서 부트캠프 쪽에서는 CI/CD까지 완성하기를 바라시는 것같다. 물론 하면 좋긴한데... 나뿐만 아니라 우리 백엔드 팀원들이 배포를 해본 경험이 없어서... 잘할 수 있을지 걱정 가득.. 일단 어떻게 CI/CD를 할 것인지 구조는 대충 정해졌다. CI & CD CI는 GitHub Actions를 이용하기로 했다. CD는 Jenkins를 이용한다. CI에서 GitHub Actions를 이용한 이유는 PR과정에서 테스트코드가 작동되는지 확인하는 점이 프로젝트 배포과정에서 오류같은 이슈를 많이 줄것이라고 생각했다. CD에서 Jenkins를 이용한 이유는 처리속도가 Jenkins가 더 빠르다 사실 우리 조가 무중단 배포까지 구현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다만 무중단 배포를 안할 경우 배포되는 시간.. 2024. 1. 2.
GitHub Actions 공부해보기 GitHub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로 build, test, deploy 파이프 라인을 자동화할 수 있는 CI와 CD 플랫폼이다. 깃 레포지토리에서 손 쉽게 CI/CD결과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WorkFlow GitHub Actions의 기본 구성 단위이다. ".github/workflows/.yml"이라는 YAML파일에 정의된다. 워크플로우는 작업의 흐름으로 특정한 목적을 위한 푸시,풀 같은 이벤트 트리거, 환경, 기능들를 포함한다. 하나 코드 저장소에는 여러개의 워크플로우 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on: push: branches: - main - develop pull_request: branches: - backend/** on 속성을 통해 해당 워크플로우가 언제 실행될지 정의한다. 위의 예시.. 2023. 12. 31.
Github Actions CI 자동 빌드 및 테스트 하기 협업프로젝트 마지막 주에는 배포를 해야하는데.... 아는게 하나도 없어서 하나씩 공부중이다... 그래도 개인적으로 기본적 토대는 CI는 GitHub Actions로 하고 CD는 Jenkins를 통해 할 계획이다. 물론 AWS로 배포할 것이다. 그래서 오늘은 GitHub Actions로 빌드및 테스트하는 방법을 말할 것이다 CI/CD가 일단 뭔데? CI는 여러 개발자가 하나의 프로젝트에 같이 개발하게된다. 이때 발생하는 불일치를 최소화해주는 개념이다. 애플리케이션 변경 사항 반영할때 자동으로 빌드 및 테스트 되어 만약 테스트가 실패하거나 잘못된 코드가 있으면 공유되는 걸 방지한다. CD는 지속적 배포로 프로젝트의 변경사항을 가상환경에 자동으로 배포하는 것이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동빌드 및 테스트 통해 코.. 2023. 12. 31.
2022-12-31 일주일 회고록 배포 어떡하냐.. 협업프로젝트 중인데 멘토님 말씀대로라면 배포를 지금부터 하는게 좋다고 하신다. 그러니까 프론트랑 백엔드가 잘 연결되는지 테스트해야하기때문에... 근데 우리 팀에서 아는 분들이 없다는 게... 나도 모름...그냥 모름... 젠킨스가 뭐하는 기술인지도 몰랐음...오늘 공부하긴 할껀데... 할수 있을런지... 멘토링때 어버버버버,..? 멘토링하면서 멘토님이 진짜 면접처럼 이 기술은 왜 사용하는지 에 대해서 물어보신다. 근데 어버버버법 하다가 끝났다. 그냥 대충 알아봤다가 한대 맞은 기분... 그래서 쓰려는 기술 다 알아보고 블로그 작성중이다. 다음 멘토링때는 질문하신거에 다 답변할 수 있었으면..ㅎ 코테 아 코테 하기 시러... 재미도 0ㅇ로 떨어짐 그러다보니 열정 0으로 떨어짐... 지금 .. 2023. 12. 31.
[Key Word 개발기] Spring RestDocs 와 Swagger 같이 사용하기 원래 협업 프로젝트때 Spring RestDocs를 통해서 api 문서를 만들려고 했다. 그런데 귀찮은 부분이 있었다. 첫번째 adoc파일을 직접 디자인??해야된다는 점 두번째 문서가 추가되면 asciido 문서를 일일이 편집해야한다는 점 세번째 swagger처럼 직접 테스트 해볼 수 없다는 점이다. 거기다가 팀원분들이 대부분 swagger는 해보셨는데 RestDocs는 처음 사용하시는 것같았다...사실 나는 둘다 사용안해봄... 그런데 찾아보니 Spring RestDocs랑 Swagger를 같이 쓸 수 있는 방법이 있었다. Swagger UI + Spring Rest Docs 위에가 전체적인 흐름이다 1. 기존처럼 테스트코드를 통해 docs문서를 생성 2.docs문서를 openApi3스펙으로 변환 3... 2023. 12. 30.
AccessToken과 RefreshToken 조금더 자세하게 이전에 AccessToken과 RefreshToken에 대해서 블로그를 쓴적이 있지만 자세하게 쓰지 않은 것같아서.. 거기다가 부트캠프 멘토님이 토큰에 대해서 질문하시는데 머리로 어버법하다가 끝났다....ㅎㅎ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의 인증 차이점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에 대해서 설명하기 이전에 HTTP에 대해 간단하게 이야기 해보자. HTTP는 stateless라는 특징이 있다. 즉 각 요청이 이전에 수행된 작업을 전혀 인식하기 못한다. 쉽게 이야기 하자면 내가 로그인하고 다른 페이지로 이동했을때 HTTP동작은 우리가 아까 로그인했는지 모른다. 그렇다면 사용자의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브라우저에 저장해놓고 매 요청마다 그 정보를 보내야할까?? 안된다. 일단 민감한 데이터가 클라이언트에 저장되.. 2023. 12.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