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3

[JPA] JPA엔티티에 기본생성자가 필요하다? JPA는 엔티티에 기본생성자, 즉 매개변수를 받지 않는 생성자를 만드는 것을 강제하고 있다. 물론 기본 생성자 없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가 있지만 공식 스펙에따르면 기본생성자가 있어야한다고 기재되어있다. 그렇다면 왜 기본 생성자를 만들도록 강제할까?? 앞서 기본 생성자를 강제하는 경우 @RequestBody와 @ModelAttribute에 대해서 알아봤다. 그중에서도 @RequestBody는 Reflection을 이용해 필드, 메서드 등의 클래스의 모든 정보에 접근하여 매핑해주었다. 다만 Reflection은 생성자 호출을 할 수없었다. 그래서 기본생성자를 강제하였다. https://haebing.tistory.com/72 [Spring] @ModelAttribute와 @RequestBody에 대해.. 2023. 11. 10.
[Spring Security] 권한 부여 구성 : 액세스 앞에 얘기한 스프링 시큐리티는 회원가입할때 비밀번호 해시화, 로그인시 비밀번호 확인하고 토큰 지급 까지의 과정이다. 이제는 인증이 완료된후 사용자 세부정보가 보안 컨텍스트에 저장된후 요청이 권한 부여 필터로 위임되어 어떤 단계를 걸치는지 알아볼 것이다.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권한 부여 필터가 요청을 허용할지 결정하고 권한이 부여되며 요청이 컨트롤러로 전달된다 앞의 UserDetails 구현한 클래스를 보면 Collections 2023. 11. 10.
[Spring] @ModelAttribute와 @RequestBody에 대해 컨트롤러로 들어오는 데이터 객체를 매핑하는 어노테이션으로 @ModleAttribute와 @RequestBody가 있다. @ModelAttribute는 여러개의@RequestParam을 하나의 객체로 매핑할때 쓰이고 @RequestBOdy는 Json형태로 들어오는 body를 객체로 매핑할때 쓰인다. 스프링은 이 두 어노테이션을 통해 클라이언트가 보내주는 데이터를 객체로 역직렬화 할 수 있다 다만 데이터를 객체로 역직렬화해주는데는 필요한 규칙들이 있다. 이 규칙을 지키지 않으면 정상적으로 객체 매핑이 될 수 없다 빈 생성자가 있어야한다 두 어노테이션모두 역직렬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 아무 필드도 할당하지 않는 빈 생성자를 호출해서 객체를 생성한다. 물론 빈 생성자만 있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빈 생성자를 만든.. 2023. 11. 9.
[Spring Security] UserDetails, UserDetailsService, PasswordEncoder, AuthenticationProvider로 간단 예제 간단하게 앞에 배웠던 내용을 정리해보자 AuthenticationFilter는 요청을 가로채서 인증 책임을 AuthennticationManager에 위임하여 AuthenticationManager는 AuthenticationProvider를 이용해 요청을 인증한다 여기서 AuthenticationProvider는 UserDetailService와 PasswordEncdoer를 호출해 암호를 검증하는 인증논리를 정의한다 이후 반환된 성공한 인증 호출의 세부정보는 AuthenticationFilter에 의해 SecurityContext에 저장된다 간단한 예제에서는 bcryt 및 scrypt로 해시된 암호를 검사하고 formLogin 인증방법으로 구성할 것이다 @Entity public class User .. 2023. 11. 8.
[Spring] Spring Boot와 데이터베이스 스프링 부트는 자동으로 내장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한다 build.gradle에 스프링 부트에 내장된 H2, HSQL,Derby 데이터베이스 의존성을 추가하면 자동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할 수 있다. 근데 만약 클래스 경로에 여러 내장 데이터베이스가 존재한다면 spring.datasource.embadded-database-connection 을 이용하여 어떤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다. 만약 none으로 한다면 내장 데이터베이스 자동설정은 비활성화 된다 또한 spring.datasource.url 과 같이 특정 url 이 없다면 내장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그렇다면 url 즉 내장 데이터베이스의 주소는 어떻게 되는 걸까?? 무작위로 결정된다 @SuppressWarnings("d.. 2023. 11. 7.
[Spring] SpringBoot 테스트에 테스트용 데이터베이스 연결 테스트 코드를 실행할때 실제 DB에 접근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 메인 어플리케이션이 로드될때마다 테이블을 드롭하고 생성하는 경우가 아니면 이미 insert된 primary key를 다시 테스트해서 충돌발생 Auto increment key라면 @Trancsaction이나 delete로 지우더라도 key값은 증가 따라서 메인의 데이터베이스와 테스트의 데이터베이스 분리가 필요하다 application.yml 또는 application.properties 보통 application 파일에 데이터베이스 설정을 작성해주면 스프링부트가 자동으로 DataSrouce 빈으로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등록해주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테스트 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분리할까? 테스트는 인메모리로 간편하게 h2.. 2023. 11. 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