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43 [Spring]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와 WebMvcConfigurer 아아 저거 어디서 많이 봤는데.. 분명 인강들으면서 리졸버라는 말 썻던거같은데... 찾아보니 역시나 배웠던거...나의 기억련이란 정말 하루살이 같구나..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파라미터가 있을때 원하는 값을 바인딩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엥??그게 뭔소리여... 그니까 컨트롤러 메서드를 만들때 @RequestBody라든지 @PathVariable를 사용한적이 있을것이다. 이때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가 HTTP메세지를 처리해주는 것이다. public interface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 { boolean supportsParameter(MethodParameter paramet.. 2023. 11. 16. [Spring] ResponseEntity, HttpEntity HandlerMethodArgumentResolver를 분명 공부했었는데 까먹어...서 공부하다가 HttpEntity를 보았다. 이게 뭐지..?? ResponseEntity처럼 생겼느데?? 라는 의문으로 한번 알아보기 시작하였다 일단 먼저 말하자면 ReponseEntity가 HttpEntity를 상속한 것이다 HttpEntity는 스프링 프레임 워크에서 제공하는 클래스로 HTTP요청이나 응답에 해당하는 HttpHeader와 HttpBody를 포함하는 클래스이다 public class HttpEntity { private final HttpHeaders headers; @Nullable private final T body; } 여기서 ResponseEntity와 RequestEntity가 HttpEnti.. 2023. 11. 16. [Spring Security] 필터로 처리??인터셉터로 처리?? 스프링 시큐리티 공부할때도 내가 아는 서블릿 필터가 시큐리티가 사용하는 필터가 맞나?? 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일단 시큐리티의 필터도 서블릿 필터의 일종이다. 근데 필터가 뭐였지..?에서 시작해서 인터셉터라는 개념도 있던거 같은데... 하면서 공부해보니 의문이 들었다. 왜 스프링 시큐리티 필터로 로그인 처리를 할까?? 인터셉터도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처리를 하는 위치??가 다르다. 사실 인터셉터로 구현하든, 스프링 시큐리티로 구현하든 그건 회사의 분위기나 개발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뭐가 나쁘다,좋다라는 그런건 없는 것같다. 그래서 일단 필터와 인터셉터에 대해서 간단하게 얘기해보자 필터 필터의 흐름은 Http 요청 -> was -> 필터 -> 서블릿 -> 컨트롤러 이다. 즉.. 2023. 11. 16. [Spring] flyway - BaseJavaMigration? flyway는 sql파일뿐만 아니라 java 파일또한 migration 가능하다. 파일명은 이전에 sql파일이름 짓을때 처럼 해주면 되고 경로는 src/java/db/migration경로를 생성해줘 안에 java파일을 생성하면된다 import org.flywaydb.core.api.migration.BaseJavaMigration; import org.flywaydb.core.api.migration.Context; import java.sql.ResultSet; import java.sql.Statement; public class V3__bulk_update_books extends BaseJavaMigration { @Override public void migrate(Context context).. 2023. 11. 13. [Spring] flyway?? DB 마이그레이션?? 아 또 모르는 개념 나왔다. flyway?예? 이게 뭐죠..?? 뭐 db 마이그레이션 한다구요?에?? 지금까지 내가 이 개념을 만났을때 반응이다. 자자 천천히 알아보자 일단 flyway에 대해서 간단히 말하자면 DB이력관리를 도와주는 라이브러리 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git은 소스 코드의 이력을 관리한다. flyway도 마찬가지다. DB에 대한 이력관리 뿐만 아니라 마이그레이션, 테스트 코드 실행시에도 도움이 된다. Migration?? 일단 migration이 뭔가.?? 간단하게 Migration이란 DB스키마에 발생한 변경사항을 DB에 적용하는 것이다. 운영환경, 개발환경, 로컬환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각자의 db를 갖고 있는데 모든 환경에서의 DB스키마를 맞추기 위함 인것이다. .. 2023. 11. 13. [MSA & DDD] 애그리거트?? 간접참조 아 다른 분들의 코드를 보다보면 내가 공부할께 너무 많이 생긴다... 좋은데... 너무 많아... 모르는게...하하하 간접참조라는 단어를 보았고 간접참조에 대해서 알아보다보니 애그리거트??라는 단어가 나와서 알아보기로 한다 애그리거트?? 애그리거트는 관련 도메인을 하나의 군집으로 묶은 것이라고 한다. 음 조금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연관된 것들끼리의 묶음이다. 위 사진은 객체 상위 수준 관점에서의 개별객체 단위의 관계이다 위 사진은 애그리거크 단위로 도메인을 나눈 것이다 이렇게 애그리거트 단위로 하나의 군으로 묶으면 좀더 상위 수준에서 도메인 모델간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애그리거트는 관련된 모델을 하나로 모은 것이기때문에 한 애그리거트에 속한 객체는 유사하거나 동일한 라이플 사이클을 갖는다 주문 관련 애.. 2023. 11. 13.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24 다음 728x90